분류 전체보기84 CRISPR/Cas9-mediated knockout of APOC3 stabilizes plasma lipids and inhibits atherosclerosis in rabbits – 리뷰 및 분석 본 논문은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농도 상승과 관련 있는 단백질인 Apolipoprotein C3(APOC3)를 유전자 제거(KO)한 토끼 모델을 통해, 해당 유전자의 기능적 결손이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발병 억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힌 연구이다. 연구팀은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해 토끼의 APOC3 유전자를 제거하고, 정상 식이 및 고지방 식이 조건 하에서 혈중 지질 농도, 염증 반응, 그리고 동맥경화 병변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APOC3-KO 토끼는 혈중 TG 및 LDL-C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고, HDL-C 수치는 높았으며, 동맥 내 병변 형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APOC3가 동맥경화의 발생에 기여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 5. 12. 더보기 ›› CRISPR 스크린으로 밝혀낸 간세포암 항암 저항성의 핵심 조절자 PSTK의 역할 이 논문은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항암 치료 저항성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인 PSTK(Phosphoseryl-tRNA kinase)의 역할을 밝힌 연구입니다. 연구진은 CRISPR-Cas9 기반의 유전자 제거 스크린을 통해 PSTK가 항암제에 의해 유도되는 ferroptosis(철의존성 세포사멸)를 억제하여 치료 저항성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PSTK는 셀레노시스테인 생합성의 핵심 효소로, GPX4 활성 유지 및 GSH 대사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ferroptosis를 억제하고 간세포암 세포의 생존을 도왔습니다. 흥미롭게도 hepatitis B 치료제로 알려진 Punicalin과 Geraniin이 PSTK 억제제로 작용하며, Sorafenib과 병용 .. 카테고리 없음 2025. 5. 11. 더보기 ›› Establishment of a PEG-mediated protoplast transformation system based on DNA and CRISPR/Cas9 ribonucleoprotein complexes for banana: 바나나 유전자 편집을 위한 비DNA 기반 시스템 개발 본 연구는 바나나에서 DNA를 이용하지 않고 유전자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CRISPR/Cas9 리보핵단백질(RNP) 복합체 기반의 PEG 매개 원형질체(protoplast) 형질전환 시스템을 수립하고 최적화한 최초의 보고이다. 기존의 바나나 유전자 편집 연구는 대부분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T-DNA 삽입 방식에 의존했으며, 이로 인해 외래 DNA의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PEG를 이용하여 DNA 없이 RNP를 바나나 원형질체에 직접 도입함으로써, 유전적으로 변형되지 않은(non-transgenic) 식물체를 생성할 가능성을 열었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PDS 유전자(target gene)에 대한 sgRNA의 효과를 검증하고, Cas9 및 Cas12a 시스템 간의 효율 차이도.. 카테고리 없음 2025. 5. 10. 더보기 ›› 불확실성 하의 임상 의사결정: 부트스트랩 기반 반사실 추론 접근법 이번 리뷰에서는 조지아 공과대학교(Wu et al.) 연구팀이 발표한 2024년 최신 논문, “Clinical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a bootstrapped counterfactual inference approach”를 다룬다. 본 연구는 임상 결정지원 시스템(CDSS)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반사실 정책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특히 의료 데이터의 불확실성과 실제 환경에서의 반사실적 제약을 고려해, 부트스트랩 기반의 정책 평가 및 최적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 투약 사례에 적용한 점에서 학문적·실용적 가치가 크다. 기존에는 관측된 처치 외 다른 가능한 선택의 결과를 알 수 없어 임상 의사결정.. 카테고리 없음 2025. 5. 9. 더보기 ›› Characterization of MAP c21873-1 as a new counter-selectable marker for unmarked genetic modification of Pichia pastoris 본 논문은 진핵세포 발현 시스템으로 널리 활용되는 *Pichia pastoris*에서 효율적이고 무표식(unmarked) 유전자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counter-selectable marker 시스템을 개발한 연구이다. 기존의 MazF 독소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은 프로모터 누출(leaky expression)로 인해 세포 생장을 저해하고, 유전적 조작이 어려웠던 단점을 가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진은 식물 리보솜 불활성화 단백질(RIP) 계열의 Mirabilis antiviral protein(MAP) 중 c21873-1을 새롭게 발굴하고 이를 counter-selectable marker로 활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유전자 삽입 후 selection marke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카테고리 없음 2025. 5. 8. 더보기 ›› 이전 1 2 3 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