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

ICAM-1의 종양 내 고유 기능: EGFR과의 직접 상호작용을 통한 삼중음성 유방암의 전이 촉진

본 논문 리뷰에서는 2024년 Molecular Cancer에 발표된 강재혁 외 연구팀의 연구를 소개합니다. 이 연구는 삼중음성 유방암(TNBC)의 전이를 유도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종양 내에서 ICAM-1이 EGFR과 직접 상호작용하여 EGFR 활성을 촉진하고, 그 결과 JAK1/STAT3 경로를 통해 상피-중배엽 이행(EMT)을 유도하여 전이를 강화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특히 ICAM-1의 D1 도메인이 EGFR의 D3 도메인과 결합하여 이 신호 전달이 유도되며, ICAM-1 중화 항체를 이용한 억제 실험에서는 종양 전이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습니다. EGFR을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기존 치료법이 부작용과 효과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는 TNBC에 대해, ICAM-1이라는 새로운 타깃을 제시함으로써 .. 카테고리 없음 2025. 5. 7.

An assessment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 – Sickle Cell Disease (CSQ-SCD)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 겸상적혈구병 환자를 위한 CSQ-SCD 도구의 타당도 검증 연구

이 논문은 미국 성인 겸상적혈구병(Sickle Cell Disease, SCD) 환자를 대상으로 한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 – Sickle Cell Disease (CSQ-SCD)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본 도구는 SCD 환자의 통증 대처 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되었지만, 그 구조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이 존재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설문 도구의 요인 구조, 수렴 타당성, 판별 타당성 및 내부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그 심리측정학적 유효성을 재검증하고자 했다. 구조방정식모형 기반의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통해 기존 모델들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새로운 요인 구조를 탐색하였으며.. 카테고리 없음 2025. 5. 6.

Leveraging CAR macrophages targeting c-Met for precision immunotherapy in pancreatic cancer: insights from single-cell multi-omics 리뷰 - CAR 대식세포를 활용한 췌장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이 연구는 췌장암의 예후가 나쁘고 기존 치료법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원인이 암 줄기세포(CSCs)와 강력한 혈관 신생 능력 때문임을 지적하며, 이러한 특징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으로서 CAR(키메라 항원 수용체) 대식세포를 활용한 연구입니다. 특히 c-Met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CAR 대식세포를 제작하여 CSCs를 제거하고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단일세포 멀티오믹스(single-cell multi-omics)를 통해 c-Met이 췌장암 CSC의 핵심 마커임을 확인하고, 이를 표적화한 CAR 대식세포의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입증한 연구입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없어 진단 시기가 늦어지고, 기존의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에도 효과가 미미하여 예후가 매우 .. 카테고리 없음 2025. 5. 5.

Effectiveness of cryopreservation conditions on cell viability and functionality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리뷰 - 조직 공학을 위한 세포 냉동 보존 조건의 효과 분석

본 리뷰는 인간 유래 세포를 다양한 조건에서 냉동 보존한 후 세포 생존력과 기능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연구진은 다양한 세포 유형, 냉동 매체, 저장 기간 및 해동 방법에 따라 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의 냉동 보존 후 단백질 발현과 형태학적 안정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조직 공학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세포 저장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됩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세포 냉동 보존은 조직 공학과 재생 의학에서 세포를 장기간 보관하고 활용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그러나 냉동 과정 중 발생하는 세포 손상은 세포 생존률과 기능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인간 유래 1차 세포의 .. 카테고리 없음 2025. 5. 4.

WNT4 promotes the symmetric fission of crypt in radiation-induced intestinal epithelial regeneration 리뷰 - 방사선 손상 장 상피 재생에서 WNT4의 대칭 분열 유도 역할

본 리뷰는 방사선 치료로 손상된 장 상피의 재생 과정에서 WNT4 단백질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힌 최신 연구 내용을 다룹니다. 특히 소장 크립트의 대칭적 분열(symmetric fission)을 촉진하는 분자 기전과 그 생리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진은 마우스 장 오르가노이드와 방사선 손상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WNT4가 장 줄기세포의 위치 조절, Paneth 세포 재배치, EphB3 발현 조절 등을 통해 조직 재생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장 손상 회복을 위한 새로운 재생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방사선 치료는 골반 부위 악성 종양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그 과정에서 장 상피가 손상되어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카테고리 없음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