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s) are increased in rheumatoid arthritis-associ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이번 리뷰에서는 Jing Xue 외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s) are increased in rheumatoid arthritis-associ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를 다룹니다. 이 논문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연관된 간질성 폐질환(RA-ILD)의 병태생리에서 중성구 세포 외 그물(NETs)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입니다. 특히, NETs 형성과 폐섬유화 간의 연관성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핵 수용체 NR4A3의 조절 작용, 환자 혈중 바이오마커, 그리고 세포 실험을 통해 기능적 결과를 제시합니다. 연구진은 RA-ILD를 모사한 동물모델과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 인간 중성구.. 카테고리 없음 2025. 5. 2.

Population genomics analysis of a rice core germplasm collection reveal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signatures 리뷰 - 벼 핵심 자원집단의 유전 다양성과 선택 신호 분석

이 리뷰는 중국 벼 핵심 자원집단(Core Germplasm Collection, CGC)을 대상으로 수행된 대규모 인구유전체학 연구를 분석한 글입니다. 해당 논문은 다양한 벼 품종 간의 유전적 구조를 규명하고, 특정 유전형질에 대한 자연 및 인위적 선택 신호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연구진은 314개 품종의 전장 유전체 서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계통 분류, 염색체 재조합, 그리고 유전자 수준에서의 선택 압력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리뷰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방법, 주요 결과, 향후 활용 가능성 등을 생략 없이 상세히 설명합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벼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식량작물 중 하나이며,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개량되어 왔습니다. 특히 중국은 .. 카테고리 없음 2025. 5. 1.

Transcriptomic Profile of Lin−Sca1+c-kit (LSK) cells in db/db mice with long-standing diabetes 리뷰 - 당뇨병에서 골수 유래 줄기세포의 전사체 변화와 염증성 표현형 전환

이 리뷰는 만성 제2형 당뇨병(T2D)이 골수 유래 조혈모세포(HSCs)의 전사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특히 Lin−Sca1+c-kit+ (LSK) 세포에서 mRNA 및 miRNA의 발현 변화가 염증 반응과 혈관 생성 경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정밀하게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6개월 이상 당뇨병이 진행된 db/db 마우스를 대상으로 순수한 HSC를 분리하고, 전사체 분석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증가, 항염증성 유전자 억제, 새로운 miRNA의 발견 등을 확인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실험 방법, 주요 결과와 의미, 임상적 함의까지 폭넓게 정리했습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전 세계적으로 5억 명 이상의 인구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그 수는.. 카테고리 없음 2025. 4. 30.

Automated high-throughput Smart-seq3 workflow enables scalable and sensitive single-cell transcriptomic and TCR sequencing 리뷰 - HT Smart-seq3 기반 단일세포 RNA 및 TCR 분석의 새로운 표준

본 리뷰는 Chuang 외 연구진이 개발한 "Automated high-throughput Smart-seq3 (HT Smart-seq3)" 워크플로우를 바탕으로, 기존의 싱글셀 RNA 시퀀싱과 TCR 시퀀싱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기술을 분석합니다. 이 논문은 특히 고속, 고감도, 높은 재현성을 제공하는 자동화된 HT Smart-seq3 기술의 구축과 그 비교 평가를 다루며, 기존 10X Genomics 플랫폼 대비 탁월한 성능을 입증합니다. 본 리뷰는 연구의 배경, 목적, 실험 방법, 주요 발견, 임상적 적용 가능성까지 심층적으로 다룹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기술은 세포 간 이질성과 면역 반응의 미세 조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특히 T세포 수용체(TCR) 시퀀.. 카테고리 없음 2025. 4. 29.

A comparison of clinical profile and treatment outcome of Hodgkin’s Lymphoma in Tanzania according to HIV status during the HAART era

본 리뷰는 탄자니아에서 고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HAART) 시대 동안 HIV 감염 여부에 따른 호지킨 림프종(HL)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결과를 비교한 연구를 다룬다. Mercy M. Mbai 박사와 연구진이 수행한 본 연구는 저소득 국가 내에서 HIV와 관련된 호지킨 림프종의 임상 양상 및 생존 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점에 주목하여, HIV 양성 및 음성 환자 간의 병리학적 특징과 전체 생존률(OS)의 차이를 분석했다. 전체 83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27.7%가 HIV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는 특히 CD4 수치, HAART 사용 여부 및 기간이 생존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HIV 양성 상태가 여전히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강조.. 카테고리 없음 2025. 4. 28.